본문 바로가기
건강

눈두덩이 부어오름 가라앉히는 방법 및 원인


눈두덩이 부어오름

눈주변 눈두덩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도 부어오를 수 있지만, 이외에도 알레르기를 비롯해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 잘못된 식습관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직접적으로 각막 및 눈동자가 다쳐 눈두덩이가 부어오르지 않는다면,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눈두덩이가 부어오르면 외부활동에 지장이 있을 뿐 아니라,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는 것은 좋지 않다.


눈두덩이 부어오름 증상 원인 및 치료방법 [1] 다래끼


다래끼는 눈꺼풀에 존재하는 마이봄샘이나 짜이스샘에 발생한 급성 세균감염으로, 마이봄샘에 생기면 속다래끼, 짜이스샘에 생기면 겉다래끼라 한다.

반면 콩다래끼는 마이봄샘의 입구가 막히면서 피지가 눈꺼풀판과 주위 연부 조직으로 분비되면서 급성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비감염성 염증질환 이다.

속다래끼와 겉다래끼는 세균감염으로 잘 나타나는데,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포도알균으로, 바이러스 감염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는다.


다래끼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대개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낫는다.

염증이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초기 단계라면 집에서 따뜻한 물주머니로 하루에 4~6회 정도 온찜질 하면 염증을 완화할 수 있고, 빨갛게 부은 부분에 통증이 있다면 냉찜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간혹 다래끼를 손이나 기구 등을 이용해 집에서 짜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경우 염증이 주변부로 확산돼 증상이 더 오래 가거나 흉터가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직접 손으로 고름을 짜서는 안된다.



통증과 붓기를 빨리 가라앉히려면 안과에 방문해 검진 후 항생제 안약이나 안연고 점안, 항생제 복용 등의 처방을 받는 것이 좋다.

증상의 정도가 심해 고름이 차 있는 경우라면, 안과 방문 후 절개를 통해 고름을 긁어내야 할수도 있는데, 시술은 눈 주위를 소독한 뒤 마취를 하고나서 다래끼가 난 부위를 절개, 염증을 긁어내게 된다.

처치가 끝나면 감염이 되지 않도록 2시간 정도 안대를 하고 처방받은 안약을 넣는 등 관리를 잘해 줘야 재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눈두덩이 부어오름 증상 원인 및 치료방법 [2] 결막염


다래끼는 결막염과 오인하기 쉬운데, 결막염은 눈이 부으면서 양쪽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눈곱이 심하다는 점에서 눈다래끼와 구별된다.

결막염은 다래끼와 달리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집단적으로 발병할 수 있어 유행성 결막염이라 부르며, 원인 바이러스에 따라 유행성 각결막염, 급성 출혈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3월부터 늘기 시작해 4~5월 1차 피크를 친 뒤 줄었다가 8~9월 2차 피크를 이루는 쌍봉낙타형 양상을 보이는데, 눈꺼풀 안쪽 점막인 결막에 알레르기 원인물질이 닿아 유발된다.


중금속 및 바이러스, 세균 등이 뒤섞여 있는 미세먼지가 지속적으로 결막에 달라붙으면 알레르기 반응으로 염증이 생기고 눈을 비비다 안구 표면이 손상될 수 있으며, 바이러스 침투로 안질환이 나타나기 쉽다.

결막염은 안과에서 처방하는 점안제를 사용하면 보통 1~2주 안에 증상이 완화되지만 방치할 경우 각막염과 시력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하루에 3~4번 정도 얼음찜질을 하면 가려움이나 부종을 줄일 수 있으며, 눈을 비비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마스크를 써도 눈은 여전히 무방비 상태로,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눈이 빨갛게 충혈되면서 간지럽고, 손으로 비비기라도 하면 붓거나 아플 수 있다.

때문에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할 경우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끼는 것이 좋은데, 콘택트렌즈를 끼면 눈이 건조해져 충혈 및 가려움증 등 부작용이 심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눈이 가려운 경우 흐르는 물에 눈을 씻어주거나 인공눈물을 넣어주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며, 눈에 상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손으로 눈을 비벼서는 안된다.



눈두덩이 부어오름 증상 원인 및 치료방법 [3] 잘못된 식습관


눈두덩이 부어오름 증상은 알레르기를 비롯해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으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잘못된 식습관이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짠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이 대표적이다.

짠 음식이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알면서도 정작 소금을 멀리하는 사람은 많지 않은데, 국과 탕 위주의 식사를 하는 한국인은 다른 나라에 비해 나트륨 하루 섭취량이 많은 편에 속한다.

실제 우리나라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은 4,878mg로 세계보건기구, WHO가 권장하는 하루 섭취량 2000mg의 약 2배에 해당한다.


2000mg은 대략 5g정도가 되는데, 한국인은 12g이상을 하루에 섭취하는 것이며 이는 큰 밥숟가락 한 숟가락을 소복이 푼 양하고 맞먹는다.

한국인은 김치나 젓갈, 국물 등을 전통적으로 선호하는데다 통조림, 소시지, 인스턴트식품과 패스트푸드, 과자와 빵, 라면 등의 식단 속에도 알게 모르게 많은 소금이 함유돼 있다.

나트륨은 원활한 혈액순환을 방해해 부어오름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염과 위궤양을 일으킬 수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되기 쉽고 소금과 헬리코박터균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염분이 높은 음식을 섭취하면 세포 사이에 저장되는 소금이 세포의 수분을 빼앗고, 그 결과 고혈압,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은 물론 신장질환, 시력 약화, 정신질환, 만성피로, 피부노화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짠 음식을 먹고 나서 목이 마르거나 피로감이 몰려오는 것은 우리 몸속 세포가 위험하다는 신호일 수 있는 것이다.

단, 나트륨 하루 권장 섭취량은 보통의 건강한 성인이라면 따로 신경 쓰지 않더라도 식사를 통해 충분히 섭취 가능하기 때문에, 저염식이나 무염식을 통해 극단적으로 소금 섭취를 제한한다면 체내 수분 보유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여러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소금은 단순히 감미료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몸을 유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성분 중 하나이기 때문인데, 건강을 위해서는 지나친 것도 문제가 되지만 부족한 것도 문제가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현실적인 건강식은 아예 소금을 먹지 않는 것이 아니라 줄여 나가는 것으로, 평소 먹는 식단에서 국물을 적게 섭취 하거나 음식을 조리할 때 소금을 평소보다 조금 덜 사용하는 식으로 소금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