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한쪽귀가 아파요 다양한 원인 및 치료방법


한쪽귀가 아파요

어느날 갑자기 한쪽귀가 먹먹하고 아픈 통증이 있다면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는 것은 자칫 위험할 수 있다.


한쪽귀가 아픈 증상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여 청각을 약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한쪽귀가 아프거나 먹먹한 증상이 있다면 조기에 병원을 내원해 정확한 원인과 이에 맞는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한쪽귀가 아파요 원인 및 치료방법 ① 중이염


한쪽귀가 아픈 원인 중 가장 흔한 원인은 중이염 이다.

중이염은 귀 내부 점막쪽에 염증이 생긴 경우로 대부분 감기 휴유증으로 발병하지만 스트레스나 물놀이, 알레르기 비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이 있을 때도 발생할 수 있다.

감기에 걸리면 귀 안에 공기를 환기시켜 주는 이관이라는 관을 따라 목이나 코의 염증이 귀로 번져서 중이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중이염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은 귀의 통증으로 감기가 걸린 상태에서 이같은 증상이 있다면 급성 중이염일 가능성이 있다.

염증이 심하면 열이 나기도 하고 고막이 터지면서 귀 밖으로 노란 고름이나 피고름이 흐르기도 하며 두통, 청력 저하, 귀울림, 귀먹먹함이 동반되기도 한다.

급성 중이염으로 진단되면 대부분의 경우 5~10일 정도 항생제와 진통제를 투여받게 되며 성인 환자가 심한 통증이 계속되는 경우 고막을 절개하여 염증을 배출하는 처치가 이루어 질수도 있다.



귀통증이 심하므로 통증 조절이 중요한데 타이레놀이나 부루펜과 같은 진통제가 대개의 경우 효과가 좋다.

중이염을 제때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할 경우 염증이 난청 및 뇌수막염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쪽귀가 아파요 원인 및 치료방법 ② 턱관절 장애


귀속이나 귀주위, 관잘놀이 또는 뺨 근처가 뻐근하거나 아프면 턱관절 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다.

턱관절 장애란 아래턱뼈, 머리뼈, 그 사이의 턱관절 관절원판(디스크), 인대, 주위 근육 등에 구조적 또는 기능적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통칭한다.


한쪽귀나 양측 귀 앞에 존재하는 턱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귀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씹고, 말하고, 침을 삼키고, 하품하는 일상적 행위가 불편하고 통증도 생긴다.

턱관절 장애는 교사나 상담원 등 업무상 말을 많이 하는 직업군과 경찰, 소방 등 공공서비스 종사자들에게서 발생률이 높다.

또한 아래 치아와 위 치아의 부정교합, 골격 이상, 이를 악무는 습관이나 이갈이, 입술, 손톱, 연필 물어뜯기, 자세 불량이나 스트레스, 불안, 긴장, 우울 등의 심리적 원인도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치료에는 턱관절에 무리를 주는 나쁜 습관의 개선 및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과 함께 약물요법, 교합안정장치와 같은 비수술적 방법을 먼저 시행한다.

필요에 따라 악관절가동술, 관절 내 주사, 바이오피드백, 발통점에 대한 주사 등을 사용하기도 하며 턱관절 장애 치료 후 교합조정, 보철 및 교정치료 등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교합안정장치(스플린트)는 아래턱이나 위턱의 모든 치아를 덮는 틀니와 유사한 장치로 턱관절, 근육, 치아를 보호하고 턱관절과 교합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쪽귀가 아파요 원인 및 치료방법 ③ 외이도염


외이도염은 귓바퀴에서 고막을 연결하는 통로인 외이도가 세균이나 곰팡이 등에 감염되어 염증이 생기면서 발병한다.

급성 외이도염은 특히 여름에 잘 생기는 질환으로, 수영장을 다녀온 후 귀를 후비거나 목욕을 한 다음 습관적으로 귀를 후비는 경우에 잘 발병하기 때문에 수영선수병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외에도 귀를 심하게 파서 생긴 상처나 손톱에 긁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중이염과는 달리 음식물을 씹거나 귀를 잡아당기는 등 귀에 압박을 가할 때 통증이 더 심해진다.



외이도염에 걸리면 처음에는 가려증과 함께 약간의 통증이 있을 뿐이지만, 후에는 극심한 통증 때문에 잠을 못 이룰 뿐만 아니라 보행이나 식사에도 곤란을 느끼게 된다.

흔히 급성 외이도염에 걸리면 염증이 심해지기 전에 가려움과 귀가 먹먹한 느낌이 함께 나타나며 만성 외이도염의 가장 큰 특징은 가려움 이다.

외이도염에 걸리면 항생제와 진통제 등의 약물치료와 함께 귀를 깨끗하게 소독해야 하는데 외이도에 고름주머니가 형성된 경우에는 절개하여 고름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외이도의 청소는 반드시 이비인후과 의사에 의해 조심스럽게 행해져야 하며, 본인이 직접 손을 대면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안약처럼 귀에 넣는 점이 항생제나 식초액 등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외이도염을 조기에 치료하지 않아 염증이 심해지면 고름이 나오거나 청력이 감소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쪽귀가 아파요 원인 및 치료방법 ④ 돌발성 난청


돌발성 난청은 10만명당 5~30명 꼴로 한해에 발생하며 95% 가량이 한쪽귀에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비인후과 질환 중 응급처치가 필요한 질환으로 꼽히는 돌발성난청은 수 시간 또는 ~-3일 이내에 갑자기 발생하며 이명이나 현기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아침에 일어나서 한쪽 귀의 청력손실을 감지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육체적· 정신적 긴장 상태에서 자주 발생한다.

바이러스 감염과 혈관장애, 와우막 파열 및 자가면역성 질환, 정신경 종양 등 돌발성 난청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많다.

항염증제나 혈액순환 개선제, 혈관확장제, 항바이러스제, 이뇨제 등을 추정되는 병인에 따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와 같은 항염증제를 주로 사용한다.


모든 치료는 절대 안정을 원칙으로 하며, 약물 투여와 함께 청력 검사를 통해서 치료 경과를 관찰하게 된다.

돌발성 난청은 치료를 받지 않아도 보통 2주 안에 회복되기도 하지만 자연회복률은 부분적 회복을 포함하면 47~63% 정도이다.

치료가 늦어질수록 회복률이 낮으며 특히, 양측성으로 발병하여 회복이 되지 않는 경우 보청기 등을 통한 청각재활을 고려해야 하며, 보청기로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 인공와우 이식술이 고려되기도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