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조제약 유통기한 및 보관 어떻게 ?!


조제약 유통기한

집집마다 소화제나 해열제 같은 약은 물론이고 복용을 중단한 약들도 아까워 버리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를 종종 발견할 수 있다.


식품에 비해 의약품의 유통기한과 보관법에 대해서는 사람들의 관심이 적은 편인데 이는 경우에 따라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유효기간이 지나거나 보관이 잘못된 약은 효과가 줄고 일부 약품은 변질로 인해 부작용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제약 유통기한 지나거나 보관 잘못하면 ?!


시럽의 병이나 약 포지에 조제된 약에는 유통기한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유통기한이 없다고 여기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엄연히 모든 의약품은 유통기한이 있다.

조제약은 약포지, 포장지로 둘러쌓여 있지만 공기가 내부로 침투돼 약이 산화 과정을 거치면서 약효가 점점 떨어지게 되며 유통기한이 지나지 않아도 보관이 잘못되면 약효가 감소하게 된다.

약품의 유통기한은 약의 주성분이 표시량의 90%에 이르는 기간을 말한다.


기한이 바로 지난 약이라면 약 성분의 90%가 아직은 유지되고 있어 약이 변질되지 않았다면 복용을 해도 문제가 되진 않는다.

하지만 안약이나 비강 스프레이 연고처럼 변질 우려가 있는 약들은 유통기한이 지나면 변질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바로 폐기하는 것이 좋다.

많은 사람들이 약국에서 지은 조제약을 투약일수만큼 먹지 않고 남은 약을 냉동실에 보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의약품을 냉장보관을 할 때는 습도에 주의해야 하는데 이는 냉장고 자체가 습도가 높기도 하고 문을 열고 닫는 과정 또는 약을 꺼내고 넣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도차나 습도차로 인해 약이 산화 또는 변질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0도 이하의 환경에서도 일부 약품들은 비가역적으로 분해될수 있기 때문에 보관한다면 2도~8도를 권장한다.

조제약 유통기한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약이 섞여 조제된 약의 경우 사용가능한 기간을 알약은 2개월, 가루약은 한 달 정도로 본다.

하지만 처방일수가 사용기한, 즉 유통기한으로 보기 때문에 5일 치의 약을 처방받았다면 이 조제약의 유통기한도 5일이라고 보고 해당 기간 내 모두 복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조제약 중 가루약의 경우는 변질되기가 더 쉽기 때문에 먹다 남은 약은 폐기하는 것이 좋은데 약 중에 습기를 빨아들이는 흡습성이 있는 약이 섞여 있다면 7일 이내에도 변질될 수 있기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약은 유통기한 대신 유효기간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데 이는 음식의 경우엔 소비자에게 팔리는 기간인 유통기한이 중시하지만 의약품은 이보다 사용기간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약전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효기간은 포장을 뜯지 않은 채로 적절한 온도와 습기에서 보관 했을 때 약효의 90%가 유지되는 기간을 말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포장지에 표시된 유효기간보다 개봉일로 경과된 기간을 따져야 하며 포장을 뜯은 경우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변질하거나 세균이 침입할 확률이 높아진다.

안약, 연고는 개봉 시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처음 사용한 날짜를 적어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통 안약은 개봉 전 6개월/개봉 후 1개월을, 연고는 개봉 전 2년/개봉 후 6개월 정도를 유통기한으로 보며 식염수는 개봉 후 10일, 감기약과 소화제 등 가정상비약은 개봉 전 2년/개봉 후 6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조제약 보관방법


조제약은 5일치를 처방 받았으면 해당 기간 내 모두 복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보관해 놓고 재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은데 약의 색깔이 변했거나 굳었다면 절대 복용해서는 안된다.

간혹 조제약을 다른 사람과 나누어 먹는 경우가 있는데 조제약은 환자의 몸과 연령대 체중까지 고려해서 조제된 맞춤약이므로 다른 사람과 나눠먹는 것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대부분 약을 오래 복용하기 위해 냉장보관하는 경우가 많지만 냉장고는 습기가 많고 냉장고 안과 밖 온도차이가 크므로 약 자체가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약은 냉장보관을 하지 않는것이 현명하다.

가끔 해열제를 냉장고에 보관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해열제는 온도가 떨어지면 약의 주요성분과 액체 부분인 물과 설탕 시럽 등이 분리된다.

이것을 모르고 그냥 먹었다간 물과 설탕만 먹게 되는 수가 있으며 나중에는 약 성분만 남아있어 해열제를 과다 복용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냉장보관은 피하고, 적힌 유통기한 내로 먹는게 좋으며 만약 개봉 했다면 한 달 이상은 곤란하다.

다른 시럽제들도 마찬가지로 대부분 실온보관이 좋지만 항생제 시럽 등 냉장 보관을 필요로 하는 약이 있으므로 의사나 약사 등 전문가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좋다.


알약은 포장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 좋고 먹을 때도 다른 약에 닿지 않도록 한 알씩 덜어 먹어야 오염과 변질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고 약병 입구에 솜이 있다면 솜 때문에 습기가 찰 수 있기 때문에 빼고 보관하는 것이 좋다.


댓글